수원역 환승센터



환승센터는 수원의 랜드마크로서, 첨단이미지와 역사성이 조화되는 경관 연출을 목표로 하였다. 진출입 램프 및 측면부 기본방향 설정에 있어서, 근경 조망영역은 휴먼스케일의 지역 상징이미지 패턴올 도입하여 일관된 경관형성 방향올 제시하였다. 중경 및 원경 조망 영역은 상하부가 연계 되는 통합적 개념의 주야간 특화 이미지를 계획하였다. 환승대합실 및 통로부 디자인은 전철, 수인선의 환승 동선과 상설전시 및 휴게시설의 순환동선 상충을 최소화하였고, 수원의 역사성 및 정체성을 표현한 벽면 특화로 통로부 전이공간을 조성하였다. 인터렉티브 아트, 이벤트 공간 등 공공 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다채로운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경관조명이 수원 야간경관의 스위치 역할을 함으로써 수원의 허브역할을 수행하도록,도심지 야간 특화 이미지 연출을 고려한 LED 등기구를 적용하여 야간 상징성 및 매스의 조형성을 부각하였다

Location 296-3 Seodun-dong, Kwonsun-gu, Suwon-si, Gyeonggi-do, Korea
Use Mixed use
Site area 28,797.00m2
Total floor area 15,952.53m2
Floors B1-2F
Client Suwon City
new images1

수원역 환승센터

new images1
Location 296-3 Seodun-dong, Kwonsun-gu, Suwon-si, Gyeonggi-do, Korea Use Mixed use Site area 28,797.00m2 Total floor area 15,952.53m2 Floors B1-2F Client

환승센터는 수원의 랜드마크로서, 첨단이미지와 역사성이 조화되는 경관 연출을 목표로 하였다. 진출입 램프 및 측면부 기본방향 설정에 있어서, 근경 조망영역은 휴먼스케일의 지역 상징이미지 패턴올 도입하여 일관된 경관형성 방향올 제시하였다. 중경 및 원경 조망 영역은 상하부가 연계 되는 통합적 개념의 주야간 특화 이미지를 계획하였다. 환승대합실 및 통로부 디자인은 전철, 수인선의 환승 동선과 상설전시 및 휴게시설의 순환동선 상충을 최소화하였고, 수원의 역사성 및 정체성을 표현한 벽면 특화로 통로부 전이공간을 조성하였다. 인터렉티브 아트, 이벤트 공간 등 공공 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다채로운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경관조명이 수원 야간경관의 스위치 역할을 함으로써 수원의 허브역할을 수행하도록,도심지 야간 특화 이미지 연출을 고려한 LED 등기구를 적용하여 야간 상징성 및 매스의 조형성을 부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