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 복식문화관



국립대구박물관 대지는 주거지와 범어공원을 연결하며,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산책로와 긴밀히 관계 맺고 있다. 이에 본관과 연결하여 조성되는 복식문화관은 기존 박물관의 맥락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공원과 도시를 보다 적극적으로 연계하는 공간구성으로 계획하였다. 대칭형 평면의 본관 특징을 계승하되,복식문화관에 맞게 자연과 호흡할 수 있는 중정을 중심에 두었다. 본관과 복식문화관을 연결하는 유리매스는 기존 대구박물관을 배려함과 동시에 섬유의 재질감을 드러내 새로운 복식문화관만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전문성과 확장성을 지닌 복식 전문 뮤지엄 브랜딩을 위해 전시 그 자체로 한반도 전체 역사의 연대기적 성격을 보여주고,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다양한 기법과 공간을 의도하였다.

Location 321, Cheongho-ro, Suseong-gu, Daegu, Korea
Use Cultural Facility
Site area 5,520.00m2
Total floor area 5,693.61m2
Floors B1-2F
new images1

국립대구박물관 복식문화관

new images1
Location 321, Cheongho-ro, Suseong-gu, Daegu, Korea Use Cultural Facility Site area 5,520.00m2 Total floor area 5,693.61m2 Floors B1-2F Client

국립대구박물관 대지는 주거지와 범어공원을 연결하며,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산책로와 긴밀히 관계 맺고 있다. 이에 본관과 연결하여 조성되는 복식문화관은 기존 박물관의 맥락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공원과 도시를 보다 적극적으로 연계하는 공간구성으로 계획하였다. 대칭형 평면의 본관 특징을 계승하되,복식문화관에 맞게 자연과 호흡할 수 있는 중정을 중심에 두었다. 본관과 복식문화관을 연결하는 유리매스는 기존 대구박물관을 배려함과 동시에 섬유의 재질감을 드러내 새로운 복식문화관만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전문성과 확장성을 지닌 복식 전문 뮤지엄 브랜딩을 위해 전시 그 자체로 한반도 전체 역사의 연대기적 성격을 보여주고,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다양한 기법과 공간을 의도하였다.